BERBER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족-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족 인구북아프리카 각국에 흩어져 살고 있는 베르베르족이 자신들의 문화적 동질성을 재천명하고 되살리려는 의지는 보다 폭넓은 정의와 정치적 권리를 추구하는 데 필연적인 행위였다. 따라서 1995년 베르베르족이 알제리에서 거둔 승리는 그들 종족의 미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베르베르족의 현재북아프리카 거주 원주민들의 후손인 베르베르족이 세운 초기 왕국은 BC 5~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베르베르족의 문자 티피나그(tifinagh)는 고대 리비아의 베르베르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한다. 외딴 지역에 거주해오면서 시간의 흐름과 무관하게 고유의 언어와 예술, 그리고 생활방식을 지켜온 베르베르족은 오늘날 외부에서 붙여준 베르베르라는 명칭보다는 옛날 이름인 막시에스에서 따온 '자유인'이라는 의미의 아마지그(복수형은 이마지겐)라는 호칭을 더 선호하고 있다.
베르베르족의 상당수가 모로코(모로코 전체인구의 30~35%를 차지함)와 알제리(약 15%)에 거주하고 있다(여기에 인용된 통계는 인구조사와 학술적 연구에서 나온 수치로 일부 추계는 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모로코 주민 900여만 명은 주로 리프 산맥과 아틀라스 산맥에 거주하고 있다. 알제리에 거주하는 베르베르인 500만 명 중 2/3는 카빌리, 특히 드쥐르드쥐라 산맥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밖에 오레스 산악지대에 거주하는 샤위아 부족과 사하라 북부의 음자브인 등도 베르베르족에 속한다. 베르베르족의 또다른 주요 부족인 투아레그족은 니제르(95만 명)와 말리(66만 명) 등 사하라-사헬 지역의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 상당수는 알제리 남부와 리비아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투아레그족의 곤경1990년 니제르와 말리의 투아레그족이 봉기를 일으키고 정부가 집단학살로 이에 맞서기 시작한 이후 수많은 난민이 부르키나파소·알제리·모리타니·리비아 등지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폭력사태는 예로부터 이어져온 토지분쟁과 베르베르족이 느끼는 경제적 차별, 정치적 소외감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지난 1994년 중반에 말리 정부와 아자와드연합운동전선(Unified Movements and Fronts of Azawad/UMFA)이 체결한 협약으로 투아레그족은 어느 정도 자치를 허용받았으며 지역개발의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무장투쟁을 벌여온 아자와드아랍이슬람교전선(Arab Islamic Front of Azawad) 역시 1995년 6월부터 평화정착 움직임에 가세했다.
니제르 분쟁은 1995년 4월에 정부 당국과 무장저항기구(Organization of the Armed Resistance)가 평화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종식되었는데, 이 협정 역시 북부의 투아레그족 거주지역의 자치를 확대하고 경제개발의 계기를 제공했다. 니제르에서는 산발적인 폭력사태가 이어지긴 했으나 평화가 간신히 유지되면서 1995년 12월에는 일부 난민들이 귀향하기 시작했다.
마그레브 베르베르족북아프리카 지역에서의 베르베르 국가 건설 실패는 사회·문화적 분열과 함께 폭력과 동요를 조장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 모로코에서는 베르베르족의 주체성을 찾는 움직임이 알제리에서만큼 활발하거나 선동적이지 않았지만 1994년 5월 베르베르어를 공식언어로 수용해줄 것을 촉구하는 시위가 벌어졌으며, 그 결과 여러 명의 지도자가 투옥되었다. 하산 2세 모로코 국왕은 1995년 들어 베르베르어로 진행하는 뉴스와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을 허용함으로써 이 사태를 무마했다.
알제리의 베르베르족은 1995년 5월 정부로 하여금 아마지그어를 복원, 촉진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는 포고령을 발표하게 만드는 승리를 거두었다. 이같은 승리는 베르베르인이 이끄는 두 정당인 사회주의세력전선(Socialist Forces Front/FFS) 및 문화민주주의연대당(Rally for Culture and Democracy)과 '베르베르문화운동'이라는 단체의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FFS는 1995년초 알제리의 민주주의 복원을 촉구한 로마 회담의 서명에 참가했던 야당 가운데 하나였다. 이 회의에서 FFS는 알제리를 이루는 구성원의 하나로 아마지그(베르베르족)를 인정, 아랍계 이슬람교와 함께 회담에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 협상을 벌였다.
지리적으로 흩어져 사는 베르베르족의 상황을 감안하면, 그들이 독립국을 세우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표현하지 않는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베르베르족이 속해 있는 각 나라에서 이제까지처럼 정치적으로 소외당하고 소수민족으로서의 권리를 찾지 못하면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1994년 8월 프랑스 두아르느네에서 열린 베르베르족 축제에서 1996년에 첫 아마지그 국제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한 예에서 드러났듯이, 베르베르족간의 자의식은 국경을 넘어 성장하고 있다.
현대에 대다수가 스페인·프랑스 등지에서 이민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착농민으로 남아 겨울에는 저지(低地)를 경작하고, 여름에는 산악 지역에서 가축들을 키우고 사는 사람들도 많다. 사막의 구릉지나 오아시스에 살고 있는 종속민에게서 야채를 공급받으면서 일년 내내 주기적으로 이동하며 유목 생활을 하는 부족도 있다. 주요작물에는 밀·보리·과일·야채·땅콩·올리브 등이 있다. 주로 소·양·염소를 방목하고 이밖에도 운송 및 교통수단으로 황소·노새·낙타·말을 기르고 있다. 정착농들은 돌로 만든 단층집에 살며, 계절마다 옮겨다니는 유목민들은 흙으로 방어·저장용 요새를 만들고 양털로 된 천막에서 생활한다. 그릇을 만들거나 천을 짜는 등 가정의 생산활동은 여자들의 몫이다.
알제리와 오아틀라스 산맥에 있는 독립촌락에서 베르베르족의 가장 단순한 정치조직을 볼 수 있는데 모든 명망 있는 성인 남자들이 마을의 광장에 모여 여는 회의, 이른바 ' 자마아'(jamā⁽ah)가 그것이다. 전적으로 유목을 하는 부족들은 종신족장과 위원을 선출하는 반면, 계절이 바뀔 때만 이동하는 유목민들은 이동을 지휘할 여름족장을 해마다 선출한다. 모든 베르베르족 집단에는 1명 이상의 종교의식을 집행하는 신분이 있다. 이들은 예언자 마호메트나 여타 성인들의 후예이며 신성하기 때문에 재앙을 받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대부분의 베르베르족은 이슬람교도들이다.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족 인구북아프리카 각국에 흩어져 살고 있는 베르베르족이 자신들의 문화적 동질성을 재천명하고 되살리려는 의지는 보다 폭넓은 정의와 정치적 권리를 추구하는 데 필연적인 행위였다. 따라서 1995년 베르베르족이 알제리에서 거둔 승리는 그들 종족의 미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베르베르족의 현재북아프리카 거주 원주민들의 후손인 베르베르족이 세운 초기 왕국은 BC 5~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베르베르족의 문자 티피나그(tifinagh)는 고대 리비아의 베르베르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한다. 외딴 지역에 거주해오면서 시간의 흐름과 무관하게 고유의 언어와 예술, 그리고 생활방식을 지켜온 베르베르족은 오늘날 외부에서 붙여준 베르베르라는 명칭보다는 옛날 이름인 막시에스에서 따온 '자유인'이라는 의미의 아마지그(복수형은 이마지겐)라는 호칭을 더 선호하고 있다.
베르베르족의 상당수가 모로코(모로코 전체인구의 30~35%를 차지함)와 알제리(약 15%)에 거주하고 있다(여기에 인용된 통계는 인구조사와 학술적 연구에서 나온 수치로 일부 추계는 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모로코 주민 900여만 명은 주로 리프 산맥과 아틀라스 산맥에 거주하고 있다. 알제리에 거주하는 베르베르인 500만 명 중 2/3는 카빌리, 특히 드쥐르드쥐라 산맥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밖에 오레스 산악지대에 거주하는 샤위아 부족과 사하라 북부의 음자브인 등도 베르베르족에 속한다. 베르베르족의 또다른 주요 부족인 투아레그족은 니제르(95만 명)와 말리(66만 명) 등 사하라-사헬 지역의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 상당수는 알제리 남부와 리비아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투아레그족의 곤경1990년 니제르와 말리의 투아레그족이 봉기를 일으키고 정부가 집단학살로 이에 맞서기 시작한 이후 수많은 난민이 부르키나파소·알제리·모리타니·리비아 등지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폭력사태는 예로부터 이어져온 토지분쟁과 베르베르족이 느끼는 경제적 차별, 정치적 소외감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지난 1994년 중반에 말리 정부와 아자와드연합운동전선(Unified Movements and Fronts of Azawad/UMFA)이 체결한 협약으로 투아레그족은 어느 정도 자치를 허용받았으며 지역개발의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무장투쟁을 벌여온 아자와드아랍이슬람교전선(Arab Islamic Front of Azawad) 역시 1995년 6월부터 평화정착 움직임에 가세했다.
니제르 분쟁은 1995년 4월에 정부 당국과 무장저항기구(Organization of the Armed Resistance)가 평화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종식되었는데, 이 협정 역시 북부의 투아레그족 거주지역의 자치를 확대하고 경제개발의 계기를 제공했다. 니제르에서는 산발적인 폭력사태가 이어지긴 했으나 평화가 간신히 유지되면서 1995년 12월에는 일부 난민들이 귀향하기 시작했다.
마그레브 베르베르족북아프리카 지역에서의 베르베르 국가 건설 실패는 사회·문화적 분열과 함께 폭력과 동요를 조장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 모로코에서는 베르베르족의 주체성을 찾는 움직임이 알제리에서만큼 활발하거나 선동적이지 않았지만 1994년 5월 베르베르어를 공식언어로 수용해줄 것을 촉구하는 시위가 벌어졌으며, 그 결과 여러 명의 지도자가 투옥되었다. 하산 2세 모로코 국왕은 1995년 들어 베르베르어로 진행하는 뉴스와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을 허용함으로써 이 사태를 무마했다.
알제리의 베르베르족은 1995년 5월 정부로 하여금 아마지그어를 복원, 촉진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는 포고령을 발표하게 만드는 승리를 거두었다. 이같은 승리는 베르베르인이 이끄는 두 정당인 사회주의세력전선(Socialist Forces Front/FFS) 및 문화민주주의연대당(Rally for Culture and Democracy)과 '베르베르문화운동'이라는 단체의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FFS는 1995년초 알제리의 민주주의 복원을 촉구한 로마 회담의 서명에 참가했던 야당 가운데 하나였다. 이 회의에서 FFS는 알제리를 이루는 구성원의 하나로 아마지그(베르베르족)를 인정, 아랍계 이슬람교와 함께 회담에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 협상을 벌였다.
지리적으로 흩어져 사는 베르베르족의 상황을 감안하면, 그들이 독립국을 세우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표현하지 않는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베르베르족이 속해 있는 각 나라에서 이제까지처럼 정치적으로 소외당하고 소수민족으로서의 권리를 찾지 못하면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1994년 8월 프랑스 두아르느네에서 열린 베르베르족 축제에서 1996년에 첫 아마지그 국제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한 예에서 드러났듯이, 베르베르족간의 자의식은 국경을 넘어 성장하고 있다.
현대에 대다수가 스페인·프랑스 등지에서 이민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착농민으로 남아 겨울에는 저지(低地)를 경작하고, 여름에는 산악 지역에서 가축들을 키우고 사는 사람들도 많다. 사막의 구릉지나 오아시스에 살고 있는 종속민에게서 야채를 공급받으면서 일년 내내 주기적으로 이동하며 유목 생활을 하는 부족도 있다. 주요작물에는 밀·보리·과일·야채·땅콩·올리브 등이 있다. 주로 소·양·염소를 방목하고 이밖에도 운송 및 교통수단으로 황소·노새·낙타·말을 기르고 있다. 정착농들은 돌로 만든 단층집에 살며, 계절마다 옮겨다니는 유목민들은 흙으로 방어·저장용 요새를 만들고 양털로 된 천막에서 생활한다. 그릇을 만들거나 천을 짜는 등 가정의 생산활동은 여자들의 몫이다.
알제리와 오아틀라스 산맥에 있는 독립촌락에서 베르베르족의 가장 단순한 정치조직을 볼 수 있는데 모든 명망 있는 성인 남자들이 마을의 광장에 모여 여는 회의, 이른바 ' 자마아'(jamā⁽ah)가 그것이다. 전적으로 유목을 하는 부족들은 종신족장과 위원을 선출하는 반면, 계절이 바뀔 때만 이동하는 유목민들은 이동을 지휘할 여름족장을 해마다 선출한다. 모든 베르베르족 집단에는 1명 이상의 종교의식을 집행하는 신분이 있다. 이들은 예언자 마호메트나 여타 성인들의 후예이며 신성하기 때문에 재앙을 받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대부분의 베르베르족은 이슬람교도들이다.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