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마[Ummah]
이슬람교의 신앙공동체
현대 아라비아어에서는 "민족", "국가"의 뜻으로도 쓰인다. 《코란》에서는 처음에 알라가 인류 구제의 역사 속에서 사도(예언자)를 보내어, 알라의 말을 전하게 한 단위집단이란 뜻으로 쓰였으나, 나중에는 오로지 "무함마드의 움마", 즉 이슬람 공동체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것은 신의 말(코란)을 바르게 받들고 실천하여, 그 범위 안에서 신의 허락을 얻은 축복받은 공동체로서 출발하였다. 이 사실은 움마의 구성원이 한편에서는 그 현실의 공동체를 더욱더 이슬람적(的)으로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외부로 향하여 선양·확대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것이 움마의 역사적 전개와 그 동태(動態)의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
이 움마의 이상은 훗날 샤리아(이슬람법)로서 구체화된다. 이 샤리아가 인간의 일상생활의 포괄적인 규범이듯이, 움마는 인간의 영적(靈的) 결합체에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는 일상의 생활규범까지도 공유하는 생활공동체인만큼 샤리아와의 결합은 밀접하다. 그러므로 종교적 대립은 곧 정치적 대립이 되고, 정치적 싸움이 곧 종교문제가 된다.
움마는 그 성질상 언제나 국가를 지향하는데, 한 사람의 칼리프가 하나의 법으로 통치하는 다민족적 단일국가의 움마가 거의 이상에 가까운 형태로 실현된 것은 아바스왕조(750∼1258) 최초의 1세기까지이다. 그후 정치적으로 분열하였고, 오늘날에는 민족국가로 나뉘어져, 움마의 통일은 먼 옛날의 꿈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과거의 영광과 결부된 이상(理想)으로서 무슬림(이슬람교 신도)에 호소하는 영향력은 아직도 크다.
이슬람교의 신앙공동체
현대 아라비아어에서는 "민족", "국가"의 뜻으로도 쓰인다. 《코란》에서는 처음에 알라가 인류 구제의 역사 속에서 사도(예언자)를 보내어, 알라의 말을 전하게 한 단위집단이란 뜻으로 쓰였으나, 나중에는 오로지 "무함마드의 움마", 즉 이슬람 공동체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것은 신의 말(코란)을 바르게 받들고 실천하여, 그 범위 안에서 신의 허락을 얻은 축복받은 공동체로서 출발하였다. 이 사실은 움마의 구성원이 한편에서는 그 현실의 공동체를 더욱더 이슬람적(的)으로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외부로 향하여 선양·확대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것이 움마의 역사적 전개와 그 동태(動態)의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
이 움마의 이상은 훗날 샤리아(이슬람법)로서 구체화된다. 이 샤리아가 인간의 일상생활의 포괄적인 규범이듯이, 움마는 인간의 영적(靈的) 결합체에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는 일상의 생활규범까지도 공유하는 생활공동체인만큼 샤리아와의 결합은 밀접하다. 그러므로 종교적 대립은 곧 정치적 대립이 되고, 정치적 싸움이 곧 종교문제가 된다.
움마는 그 성질상 언제나 국가를 지향하는데, 한 사람의 칼리프가 하나의 법으로 통치하는 다민족적 단일국가의 움마가 거의 이상에 가까운 형태로 실현된 것은 아바스왕조(750∼1258) 최초의 1세기까지이다. 그후 정치적으로 분열하였고, 오늘날에는 민족국가로 나뉘어져, 움마의 통일은 먼 옛날의 꿈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과거의 영광과 결부된 이상(理想)으로서 무슬림(이슬람교 신도)에 호소하는 영향력은 아직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