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di Dynasty (사디 왕조)
AD (1509) 1554 - 1659
Saadi는 이전의 모로코 첫번째 왕조(Idrisid 이드리시드) 처럼 Ali ibn Abi Talib와 Muhammad의 딸인 파티마 Zahra의 자손을 통해 모하마드(이슬람교 창시자)로부터의 자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부족의 주거지는 모로코의 남서부 Draa 계곡의 Tagmadert 지역으로 알려졌다. Saadi 이름은 원래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Tagmadert의 shurafa (샤리프/ 아랍혈통)인 Bani 'Zaydan'에서 파생될 수 있습니다. 사디 세력 그 당시 모로코를 지배하던 마리니드(Merinid) 왕조의 왕이 포르투갈과의 전쟁에서 전사한 해인 1509년 모로코의 남쪽을 통치하기 위한 영향력이 커지면서 1528년에 모로코 북쪽지역을 지배하던 와타시즈(Wattasids) 권위를 인정했다.
그 후 1554 년 술탄 모하메드 (Sultan Mohammed ash-Sheikh)는 와타시드(Wattassids)를 권좌에서 밀어내고 모로코 전 지역을 통일시킨다.
사디(1511-1659) 왕조 초기
와타시드(Wattassids) 왕조는 모로코의 쇠퇴를 막고 평화와 단결을 회복하며 포르투갈의 정복을 종식시킬 힘이 없었기 때문에 점차 사디(Saadi) 세력에게 힘을 잃었습니다. 북아프리카에서의 권력은 본질적으로 종교적 성격이 매우 중요한데 와타시드의 지배력이 약했던 것은 종교적 정당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15세기 말과 16세기 초, 와타시드 중앙 권력의 해체에 직면한 자우이아(Zaouiya, 이슬람 종교 형제단)의 수장들은 위협받는 이슬람의 '최후의 수호자'로 부상하여 포르투갈에 대한 저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독교 침략자들에 대한 성전 및 지하드를 촉구했습니다. 엘 자줄리(El Jazouli)의 제자들이 이끄는 드라(Draa)와 수스(Souss)의 "차딜리야, Chadiliya " 자우아에는 드라 계곡의 체리피안(Sherifian, 정통 아랍혈통 가문) 가문인 사디안족이 성전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사디의 종교적 역할이 시작되었습니다. 체리프(Cherif) 가문으로서 그들의 명성은 이미 대단했지만, 그 중 한 명인 아부 압달라 모하메드((Abu Abdallah Mohammed))가 수스(Souss)에서 포르투갈 군대에 대항하며 그 명성은 점점 더 커졌습니다. 1511년, 그는 엘 카임 비 아므르 알라(El Qaim bi Amr Allah)라는 별명을 가지고 파운티(포르투갈어로 아가디르, Agadie)에 정착한 포르투갈인들과의 성전을 이끌었습니다. 종교적 대의 외에도 모로코 경제에 필수적인 사하라 사막 무역을 지키기 위해 포르투갈 점령에 맞서 싸웠던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사디인들은 침략자뿐만 아니라 내부 반대 경쟁 세력들과도 싸웠습니다. 그들은 수스 전쟁(1511-1517, 아가디르 공격)과 이후 안티 아틀라스 전쟁과 하이 아틀라스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1524년, 알 카임의 장남이자 후계자 아메드 알 아레즈(1517~1554)가 마라케시를 점령했습니다. 사디인들은 1541년 포르투갈로부터 아가디르(Agadir)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고, 기독교인들은 사피(1481년 포르투갈이 점령)와 아젬무르(1486년 포르투갈이 점령)에서도 쫒겨났습니다. 그 당시 와타시드족은 이슬람의 수호자처럼 보였지만, 포르투갈과 휴전을 맺은 후 단일 전선인 남부에서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이 투쟁은 1554년 9월 13일 모하메드 알 셰이크(Mohammed alSheikh)가 페즈를 결정적으로 점령하면서 와타시드족의 패배와 사디 족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로 인해 모로코에서 포르투갈의 점령은 막을 내렸고 모로코에 대한 기독교의 위협은 사라졌으며 사디 족이 드디어 모로코를 재통일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사하라 사막의 주요 거점을 통제하게 된 사디 족은 사하라 무역 루트(Caravan)의 독점권을 되찾았습니다. 그러나 사디 왕조는 터키(오스만 제국)라는 또다른 외부 위험에 직면해야 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의 통치(Mohammed al-Cheikh , 1554-1557)
1541년 포르투갈 군대가 점령하던 아가디르(Agadir) 요새 탈환에 성공한 모하메드 알 셰이크(Mohammed al-Cheikh)는 이슬람의 수호자로 국민적 영웅이 된 그의 명성은 페즈의 와타시드(Watasids) 술탄의 명성을 넘어섰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가 아흐메드 알 아레즈(Ahmed al-Aarej)의 뒤를 이었을 때 모로코를 탈출한 와타시드 왕족은 해적들에게 학살당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가 모로코의 군주로서 거둔 첫 번째 승리는 1554년 9월 13일 페즈 점령이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는 마라케시(Marrakech)를 수도로 삼았습니다. 기독교인들과의 성전 영웅인 모하메드 알 셰이크는 오스만 제국의 팽창주의적 위협을 인식하고 모로코의 독립을 지키고자 하는 민족주의적 열망에 이끌려 기독교의 선구자인 스페인 국왕과 동맹을 맺은 것으로 보입니다. 역설적이게도 터키의 적이었던 사디 세력은 오스만의 웅장함, 특히 군사력에 매료되어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 통치 기간 동안 페즈에는 대포 주조 공장이 세워졌고 모로코 군대는 현대에 착수했습니다. 그는 군대에 터키적인 요소를 도입하고 콘스탄티노플 술탄의 군대를 모델로 삼으려 했지만, 아틀라스 산맥 원정 중 터키 근위대에 의해 암살당하고 콘스탄티노플 성벽에 목이 매달려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물레이 압달라 알 갈리브 빌라(Moulay Abdallah al-Ghalib Billah, 1557-1574) 통치 기간
모하메드 알 셰이크(Mohammed al-Cheikh)의 아들인 물레이 압달라(Moulay Abdallah)가 그의 뒤를 이어 국가 통합과 중앙 권력 강화라는 국내 정책과 오스만의 위협에 맞서 독립 외교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스페인 동맹에 적대적인 종교 지도자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마자간 포위 공격에 나섰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1574년 술탄 물레이 압달라가 천식 발작으로 쓰러졌고, 그가 후계자로 지명한 아들이 2년의 짧은 통치 기간을 이어받았습니다. 이러한 왕위 계승은 끔찍한 왕조 전쟁으로 이어졌고, 1578년 8월 4일 와디 알 마카진(l’oued al-Makhazin)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모하메드 알 무타우아킬의 (Mohammed al-Moutaouakil, 1574-1576) 통치시대
사디 왕조의 전통에 따르면 왕위 계승은 우선적으로 사망한 술탄의 형제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러나 물레이 압달라(Moulay Abdallah)는 장남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Mohammed al-Moutaoukil)을 왕국의 후계자로 지명함으로써 삼촌 압드 알 말렉(Abd-al-Malek)과 조카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 사이에 피할 수 없는 권력다툼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압드 알 말렉은 아버지 술탄 모하메드 알 셰이크가 사망한 후 콘스탄티노플로 피신한 상태였고, 자신을 암살하려던 동생 물레이 압달라(Moulay Abdallah)에게 위협을 느꼈습니다. 1574년 술탄 물레이 압달라가 사망하자 당시 알제(Alger)에 있던 압드 알 말렉은 마침내 모로코에 진출한 오스만 제국의 도움을 받아 모로코 왕좌를 '회복'하기로 결심했습니다. 1576년 6월 말, 라바트(Rabat)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두 번째 주요 전투이자 이번에는 결정적인 두 왕위 계승자 간의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다시 한번 패배한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은 산속으로 피신했고, 그의 삼촌은 사디 왕조 수도 마라케시로 이동했습니다. 폐위된 술탄은 왕좌를 되찾고 싶어 포르투갈 국왕 돔 세바스티앙(Dom Sébastien)에게 모로코의 준보호령을 제안하며 도움을 청했습니다. 포르투갈의 젊은 군주는 아마도 이것이 1540년대 포르투갈의 실패를 복수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압드 알 말렉 알 모아타셈 빌라(Abd-al-Malek al-Moatassem Billah, 1576-1578) 통치시대
압드-알-말렉(Abd-al-Malek)은 젊은 시절 광범위한 여행을 통해 특히 무기와 군사 전략 분야에서 근대화에 개방적인 술탄이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에 머무는 동안 그는 매우 보람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2년의 통치 기간 동안 압드 알 말렉은 1578년 오스만 제국이 페르시아와 소모적 전쟁으로 인해 매우 지친 상태였기 때문에 모로코를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었습니다. 모로코 술탄은 스페인과 동맹을 재건하는 데도 성공했습니다. 한편, 권력 다툼에서 쫓겨난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Mohammed al-Moutaoukil)이 모로코에서 권력을 되찾기 위해 포르투갈 돔 세바스티앙 왕과 함께 연합군을 결성했습니다. 이에 맞서 술탄 압드 알 말렉 왕은 돔 세바스티앙을 설득하여 평화를 지키려고 시도했지만 모두 헛수고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모로코 군주는 전쟁에 대비해 군사를 준비하고있었습니다. 1578년 8월 4일, 삼왕 전투라고도 알려진 와디 알 마카진((oued alMakhazin)) 전투가 발발하여 참전한 세 왕이 모두 사망하고 사디 세력이 대승을 거두게 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전투가 시작될 때 이미 중병을 앓고 있던 압드 알 말렉은 곧 병마에 죽고, 돔 세바스티앙(Dom Sebastian)과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은 패전해서 탈줄을 시도하다 오우에드 알 마카진(oued alMakhazin) 강에서 둘다 익사했습니다. 술탄 압드 알 말렉의 죽음은 그의 군대에게 숨겨졌습니다.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의 시신이 확인되자 모로코인들은 그의 가죽을 벗겨 알 메슬루크(al-Mesloukh, 가죽을 벗긴 자)라는 이름을 붙였고 그의 유해는 짚으로 채워져 모로코의 주요 도시에 전시되었습니다. 이 전투는 성전 정신으로 무장하고 모로코 전 국민의 지지를 받은 사디 군대의 우월성과 힘을 증명하는 전투였습니다. 포르투갈은 이 전투에서 완전히 패배하여 포로로 잡힌 병사들을 되찾기 위해 천문학적인 예산이 책정되는 등 극적인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사망한 돔 세바스티안이 후계자를 지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삼촌인 스페인의 필립 2세가 왕국을 이어받았습니다. 외교 정책 측면에서 이 눈부신 승리는 모로코가 외국, 특히 유럽 국가들의 눈에 엄청난 명성을 얻게 해 주었습니다. 국가 정책 측면에서 볼 때, 이 승리 이후 압드 알 말렉의 동생 아부 압바스 아흐메드(Abu Abbas Ahmed)가 즉위하자마자 "알 만수르, al-Mansour" (승리자)라는 별명을 얻으며 종교적 명성을 높이고 사디안 왕조를 강화했습니다. 전투에서 획득한 전리품은 새로운 권력자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Ahmed al-Mansour, 1578-1603), 위대한 전성기
삼왕 전투에서 사망한 영웅 압드 알 말렉(Abd-al-Malek)의 동생인 아부 압바스 아흐메드(Abu Abbas Ahmed)는 알 만수르(승리자)라는 이름으로 술탄으로 선포되었습니다. 첫 번째 별명에는 특정 부를 반영하는 "알 다비, al-Dahbi"라는 칭호가 주어졌습니다. 실제로 알 만수르 알 다비(Al-Manour al-Dahbi)는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포로들의 몸값과 1590년 정복한 수단에서 얻은 금을 포함하여 상당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자원은 모로코에서 화려한 금화를 주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수입원은 마라케시의 치차우아(Chichaoua) 지역에서 재배되는 사탕수수였습니다. 이러한 부를 바탕으로 그는 왕조의 수도였던 마라케시에 알 바디아(A-Badia, 비교할 수 없는) 궁전과 같은 화려한 건축물을 지을 수 있었고, 이는 그의 통치의 화려함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모로코의 새로운 경제 상황과 높은 명성은 유럽 국가들의 관심을 끌었고, 마라케시에 수많은 대사를 파견하고 심지어 차관을 요청하기까지 했습니다. 모로코는 이러한 유리한 상황을 잘 활용하여 유럽국가들과의 무역 관계를 발전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이러한 모로코의 성장을 경계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알 만수르의 외교 정책은 오스만 제국주의에 대한 불신과 스페인과의 동맹 유지라는 결론으로 특징 지어졌습니다.
알 만수르가 페즈 성벽을 강화하고 같은 도시에 북쪽과 남쪽 보르즈(망루)를 건설한 것은 잠재적인 터키의 위협으로부터 왕국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모로코 술탄은 터키에 반대하는 외교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터키 문화를 모로코에 허용했습니다. 특히 군사 분야에서는 종종 터키인들이 모로코 군대의 교육과 훈련교관을 맡았습니다.
그들은 왕실 무기고와 모로코 포병을 책임졌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 통치 기간 통안 모로코 군대는 점점 "터키화"되었습니다. 국내적으로 아흐메드 알 만수르는 가장 위대한 사디 왕조의 국왕으로, 전 영토를 가장 오랫동안, 그리고 가장 절대적으로 통치한 유일한 왕이었습니다. 내부세력이 그에게 한 번도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고 평생 동안 종교적, 정치적 문제가 드러난 적도 없었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는 특히 수도에 방대한 건축 프로젝트를 늘려 국가를 파탄에 빠뜨리는 재정 정책을 펼쳤지만 예술과 문화의 진정한 후원자였습니다. 그는 시인, 학자, 예술가들로 구성된 화려한 궁정으로 자신을 둘러쌌으며, 그 화려함은 외국 대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1603년 알 만수르는 1588년부터 모로코를 황폐화시킨 전염병으로 사망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25년은 사디 왕조 역사상 가장 평화적이고 안정과 번영의 시기였습니다. 실제로 그가 죽었을 때 모로코는 부유하고 번영한 나라였습니다. 수스(Souss), 드라(Draa), 타필라렛(Tafilalet)을 넘어 수단의 황금의 수도 퉁북투(Tombuktu)까지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이 통치 기간1578-1603년 동안 사디 왕국은 유럽과 대등한 강대국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알 만수르가 사망한 지 불과 5개월 만에 사디 왕조의 번영은 추락하기 시작합니다. 설탕, 금, 캐러밴 등의 무역으로 탄탄했던 경제 시스템이 허무하게 무너져 내렸습니다. 국내에서는 알 만수르의 아들들이 권력 다툼이 시작되어 내전이 나라를 황폐화시켰습니다. 대외적으로 스페인은 터키와 가까워졌지만 지중해 서부의 현상태의 유지를 옹호하여 가까스로 오스만의 위협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사디 왕조 붕괴(1603-1659)
영광스러운 술탄 알 만수르(al-Mansour)가 사망한 직후 모로코는 왕위 계승 분쟁, 중앙 권력의 붕괴, 지역 다툼, 영토 분열, 내전으로 왕국 전체가 황폐화되는 등 심각한 불안의 시기를 경험했습니다. 상황이 너무 극적으로 전개되어 사디안 왕조는 알 만수르의 죽음과 함께 붕괴되었습니다. 모로코는 증오와 폭력, 학살로 점철된 암흑의 60년을 경험했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의 세 아들 중 누구도 그의 위상이나 권위를 갖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끔찍할 정도로 무능했고 권력 쟁탈전에만 몰두했습니다. 겨우 한 세기 동안 통치한 사디 왕조는 완전한 혼란 속에서 끝났습니다. 알라우 (Alaouit)족이 등장하고 나서야 모로코의 질서가 회복되었습니다.
사드 왕조의 업적
정치적으로는 사디 왕조가 부분적으로 실패한 것처럼 보이지만,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사디 왕조의 세기는 오히려 찬란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와타시드 왕조가 남긴 암울한 문화 환경의 유산에도 불구하고 사드 왕조는 모로코의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장려하고 활성화했습니다. 이러한 영향력은 술탄 알 만수르 통치 기간에 절정에 달했습니다. 가장 웅장한 예술적 창조물은 건축적인 성격이 강했습니다. 사디 왕조 시대에는 페즈와 마라케시의 지적 지배가 지배적이었습니다. 술탄들은 페즈에 보르즈(Borj)를 짓고 알 카라우이인(alQaraouiyin) 모스크를 장식했습니다. 마라케시를 제국의 수도로 삼은 사디 왕조는 그들의 왕실 묘지, 벤 유세프 메데르사(Medersa Ben Youssef), 알 바디아(El Badia) 궁전을 건설하는 등 마라케시를 특히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알 만수르(al Mansour)가 자신의 영광에 걸맞은 기념비적 건축물을 만들고 싶어했고 1578년부터 1594년까지 거의 쉬지 않고 공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모로코-안달루시아 유산을 융합하고 수입 재료와 기술(이탈리아 대리석 등)을 도입하는 동시에 메리니드(Merinids) 왕조 시대에 개발된 재료와 기술을 계속 유지했습니다. 이는 이전 왕조 시기에 확립된 예술적 전통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는 증거입니다. 사디 왕조 시대에는 모로코는 전 세계에 개방적인 태도로 유럽, 터키, 심지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사디 왕조 시대의 예술은 알모하드(Almohads) 전통, 메리니드(Merinids) 유산, 오스만 제국의 영향이 공존하고 융합된 복합 예술로 평가됩니다.
AD (1509) 1554 - 1659
Saadi는 이전의 모로코 첫번째 왕조(Idrisid 이드리시드) 처럼 Ali ibn Abi Talib와 Muhammad의 딸인 파티마 Zahra의 자손을 통해 모하마드(이슬람교 창시자)로부터의 자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부족의 주거지는 모로코의 남서부 Draa 계곡의 Tagmadert 지역으로 알려졌다. Saadi 이름은 원래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Tagmadert의 shurafa (샤리프/ 아랍혈통)인 Bani 'Zaydan'에서 파생될 수 있습니다. 사디 세력 그 당시 모로코를 지배하던 마리니드(Merinid) 왕조의 왕이 포르투갈과의 전쟁에서 전사한 해인 1509년 모로코의 남쪽을 통치하기 위한 영향력이 커지면서 1528년에 모로코 북쪽지역을 지배하던 와타시즈(Wattasids) 권위를 인정했다.
그 후 1554 년 술탄 모하메드 (Sultan Mohammed ash-Sheikh)는 와타시드(Wattassids)를 권좌에서 밀어내고 모로코 전 지역을 통일시킨다.
사디(1511-1659) 왕조 초기
와타시드(Wattassids) 왕조는 모로코의 쇠퇴를 막고 평화와 단결을 회복하며 포르투갈의 정복을 종식시킬 힘이 없었기 때문에 점차 사디(Saadi) 세력에게 힘을 잃었습니다. 북아프리카에서의 권력은 본질적으로 종교적 성격이 매우 중요한데 와타시드의 지배력이 약했던 것은 종교적 정당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15세기 말과 16세기 초, 와타시드 중앙 권력의 해체에 직면한 자우이아(Zaouiya, 이슬람 종교 형제단)의 수장들은 위협받는 이슬람의 '최후의 수호자'로 부상하여 포르투갈에 대한 저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독교 침략자들에 대한 성전 및 지하드를 촉구했습니다. 엘 자줄리(El Jazouli)의 제자들이 이끄는 드라(Draa)와 수스(Souss)의 "차딜리야, Chadiliya " 자우아에는 드라 계곡의 체리피안(Sherifian, 정통 아랍혈통 가문) 가문인 사디안족이 성전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사디의 종교적 역할이 시작되었습니다. 체리프(Cherif) 가문으로서 그들의 명성은 이미 대단했지만, 그 중 한 명인 아부 압달라 모하메드((Abu Abdallah Mohammed))가 수스(Souss)에서 포르투갈 군대에 대항하며 그 명성은 점점 더 커졌습니다. 1511년, 그는 엘 카임 비 아므르 알라(El Qaim bi Amr Allah)라는 별명을 가지고 파운티(포르투갈어로 아가디르, Agadie)에 정착한 포르투갈인들과의 성전을 이끌었습니다. 종교적 대의 외에도 모로코 경제에 필수적인 사하라 사막 무역을 지키기 위해 포르투갈 점령에 맞서 싸웠던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사디인들은 침략자뿐만 아니라 내부 반대 경쟁 세력들과도 싸웠습니다. 그들은 수스 전쟁(1511-1517, 아가디르 공격)과 이후 안티 아틀라스 전쟁과 하이 아틀라스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1524년, 알 카임의 장남이자 후계자 아메드 알 아레즈(1517~1554)가 마라케시를 점령했습니다. 사디인들은 1541년 포르투갈로부터 아가디르(Agadir)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고, 기독교인들은 사피(1481년 포르투갈이 점령)와 아젬무르(1486년 포르투갈이 점령)에서도 쫒겨났습니다. 그 당시 와타시드족은 이슬람의 수호자처럼 보였지만, 포르투갈과 휴전을 맺은 후 단일 전선인 남부에서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이 투쟁은 1554년 9월 13일 모하메드 알 셰이크(Mohammed alSheikh)가 페즈를 결정적으로 점령하면서 와타시드족의 패배와 사디 족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로 인해 모로코에서 포르투갈의 점령은 막을 내렸고 모로코에 대한 기독교의 위협은 사라졌으며 사디 족이 드디어 모로코를 재통일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사하라 사막의 주요 거점을 통제하게 된 사디 족은 사하라 무역 루트(Caravan)의 독점권을 되찾았습니다. 그러나 사디 왕조는 터키(오스만 제국)라는 또다른 외부 위험에 직면해야 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의 통치(Mohammed al-Cheikh , 1554-1557)
1541년 포르투갈 군대가 점령하던 아가디르(Agadir) 요새 탈환에 성공한 모하메드 알 셰이크(Mohammed al-Cheikh)는 이슬람의 수호자로 국민적 영웅이 된 그의 명성은 페즈의 와타시드(Watasids) 술탄의 명성을 넘어섰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가 아흐메드 알 아레즈(Ahmed al-Aarej)의 뒤를 이었을 때 모로코를 탈출한 와타시드 왕족은 해적들에게 학살당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가 모로코의 군주로서 거둔 첫 번째 승리는 1554년 9월 13일 페즈 점령이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는 마라케시(Marrakech)를 수도로 삼았습니다. 기독교인들과의 성전 영웅인 모하메드 알 셰이크는 오스만 제국의 팽창주의적 위협을 인식하고 모로코의 독립을 지키고자 하는 민족주의적 열망에 이끌려 기독교의 선구자인 스페인 국왕과 동맹을 맺은 것으로 보입니다. 역설적이게도 터키의 적이었던 사디 세력은 오스만의 웅장함, 특히 군사력에 매료되어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모하메드 알 셰이크 통치 기간 동안 페즈에는 대포 주조 공장이 세워졌고 모로코 군대는 현대에 착수했습니다. 그는 군대에 터키적인 요소를 도입하고 콘스탄티노플 술탄의 군대를 모델로 삼으려 했지만, 아틀라스 산맥 원정 중 터키 근위대에 의해 암살당하고 콘스탄티노플 성벽에 목이 매달려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물레이 압달라 알 갈리브 빌라(Moulay Abdallah al-Ghalib Billah, 1557-1574) 통치 기간
모하메드 알 셰이크(Mohammed al-Cheikh)의 아들인 물레이 압달라(Moulay Abdallah)가 그의 뒤를 이어 국가 통합과 중앙 권력 강화라는 국내 정책과 오스만의 위협에 맞서 독립 외교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스페인 동맹에 적대적인 종교 지도자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마자간 포위 공격에 나섰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1574년 술탄 물레이 압달라가 천식 발작으로 쓰러졌고, 그가 후계자로 지명한 아들이 2년의 짧은 통치 기간을 이어받았습니다. 이러한 왕위 계승은 끔찍한 왕조 전쟁으로 이어졌고, 1578년 8월 4일 와디 알 마카진(l’oued al-Makhazin)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모하메드 알 무타우아킬의 (Mohammed al-Moutaouakil, 1574-1576) 통치시대
사디 왕조의 전통에 따르면 왕위 계승은 우선적으로 사망한 술탄의 형제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러나 물레이 압달라(Moulay Abdallah)는 장남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Mohammed al-Moutaoukil)을 왕국의 후계자로 지명함으로써 삼촌 압드 알 말렉(Abd-al-Malek)과 조카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 사이에 피할 수 없는 권력다툼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압드 알 말렉은 아버지 술탄 모하메드 알 셰이크가 사망한 후 콘스탄티노플로 피신한 상태였고, 자신을 암살하려던 동생 물레이 압달라(Moulay Abdallah)에게 위협을 느꼈습니다. 1574년 술탄 물레이 압달라가 사망하자 당시 알제(Alger)에 있던 압드 알 말렉은 마침내 모로코에 진출한 오스만 제국의 도움을 받아 모로코 왕좌를 '회복'하기로 결심했습니다. 1576년 6월 말, 라바트(Rabat)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두 번째 주요 전투이자 이번에는 결정적인 두 왕위 계승자 간의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다시 한번 패배한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은 산속으로 피신했고, 그의 삼촌은 사디 왕조 수도 마라케시로 이동했습니다. 폐위된 술탄은 왕좌를 되찾고 싶어 포르투갈 국왕 돔 세바스티앙(Dom Sébastien)에게 모로코의 준보호령을 제안하며 도움을 청했습니다. 포르투갈의 젊은 군주는 아마도 이것이 1540년대 포르투갈의 실패를 복수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압드 알 말렉 알 모아타셈 빌라(Abd-al-Malek al-Moatassem Billah, 1576-1578) 통치시대
압드-알-말렉(Abd-al-Malek)은 젊은 시절 광범위한 여행을 통해 특히 무기와 군사 전략 분야에서 근대화에 개방적인 술탄이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에 머무는 동안 그는 매우 보람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2년의 통치 기간 동안 압드 알 말렉은 1578년 오스만 제국이 페르시아와 소모적 전쟁으로 인해 매우 지친 상태였기 때문에 모로코를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었습니다. 모로코 술탄은 스페인과 동맹을 재건하는 데도 성공했습니다. 한편, 권력 다툼에서 쫓겨난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Mohammed al-Moutaoukil)이 모로코에서 권력을 되찾기 위해 포르투갈 돔 세바스티앙 왕과 함께 연합군을 결성했습니다. 이에 맞서 술탄 압드 알 말렉 왕은 돔 세바스티앙을 설득하여 평화를 지키려고 시도했지만 모두 헛수고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모로코 군주는 전쟁에 대비해 군사를 준비하고있었습니다. 1578년 8월 4일, 삼왕 전투라고도 알려진 와디 알 마카진((oued alMakhazin)) 전투가 발발하여 참전한 세 왕이 모두 사망하고 사디 세력이 대승을 거두게 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전투가 시작될 때 이미 중병을 앓고 있던 압드 알 말렉은 곧 병마에 죽고, 돔 세바스티앙(Dom Sebastian)과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은 패전해서 탈줄을 시도하다 오우에드 알 마카진(oued alMakhazin) 강에서 둘다 익사했습니다. 술탄 압드 알 말렉의 죽음은 그의 군대에게 숨겨졌습니다. 모하메드 알 무타우킬의 시신이 확인되자 모로코인들은 그의 가죽을 벗겨 알 메슬루크(al-Mesloukh, 가죽을 벗긴 자)라는 이름을 붙였고 그의 유해는 짚으로 채워져 모로코의 주요 도시에 전시되었습니다. 이 전투는 성전 정신으로 무장하고 모로코 전 국민의 지지를 받은 사디 군대의 우월성과 힘을 증명하는 전투였습니다. 포르투갈은 이 전투에서 완전히 패배하여 포로로 잡힌 병사들을 되찾기 위해 천문학적인 예산이 책정되는 등 극적인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사망한 돔 세바스티안이 후계자를 지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삼촌인 스페인의 필립 2세가 왕국을 이어받았습니다. 외교 정책 측면에서 이 눈부신 승리는 모로코가 외국, 특히 유럽 국가들의 눈에 엄청난 명성을 얻게 해 주었습니다. 국가 정책 측면에서 볼 때, 이 승리 이후 압드 알 말렉의 동생 아부 압바스 아흐메드(Abu Abbas Ahmed)가 즉위하자마자 "알 만수르, al-Mansour" (승리자)라는 별명을 얻으며 종교적 명성을 높이고 사디안 왕조를 강화했습니다. 전투에서 획득한 전리품은 새로운 권력자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Ahmed al-Mansour, 1578-1603), 위대한 전성기
삼왕 전투에서 사망한 영웅 압드 알 말렉(Abd-al-Malek)의 동생인 아부 압바스 아흐메드(Abu Abbas Ahmed)는 알 만수르(승리자)라는 이름으로 술탄으로 선포되었습니다. 첫 번째 별명에는 특정 부를 반영하는 "알 다비, al-Dahbi"라는 칭호가 주어졌습니다. 실제로 알 만수르 알 다비(Al-Manour al-Dahbi)는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포로들의 몸값과 1590년 정복한 수단에서 얻은 금을 포함하여 상당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자원은 모로코에서 화려한 금화를 주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수입원은 마라케시의 치차우아(Chichaoua) 지역에서 재배되는 사탕수수였습니다. 이러한 부를 바탕으로 그는 왕조의 수도였던 마라케시에 알 바디아(A-Badia, 비교할 수 없는) 궁전과 같은 화려한 건축물을 지을 수 있었고, 이는 그의 통치의 화려함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모로코의 새로운 경제 상황과 높은 명성은 유럽 국가들의 관심을 끌었고, 마라케시에 수많은 대사를 파견하고 심지어 차관을 요청하기까지 했습니다. 모로코는 이러한 유리한 상황을 잘 활용하여 유럽국가들과의 무역 관계를 발전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이러한 모로코의 성장을 경계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알 만수르의 외교 정책은 오스만 제국주의에 대한 불신과 스페인과의 동맹 유지라는 결론으로 특징 지어졌습니다.
알 만수르가 페즈 성벽을 강화하고 같은 도시에 북쪽과 남쪽 보르즈(망루)를 건설한 것은 잠재적인 터키의 위협으로부터 왕국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모로코 술탄은 터키에 반대하는 외교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터키 문화를 모로코에 허용했습니다. 특히 군사 분야에서는 종종 터키인들이 모로코 군대의 교육과 훈련교관을 맡았습니다.
그들은 왕실 무기고와 모로코 포병을 책임졌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 통치 기간 통안 모로코 군대는 점점 "터키화"되었습니다. 국내적으로 아흐메드 알 만수르는 가장 위대한 사디 왕조의 국왕으로, 전 영토를 가장 오랫동안, 그리고 가장 절대적으로 통치한 유일한 왕이었습니다. 내부세력이 그에게 한 번도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고 평생 동안 종교적, 정치적 문제가 드러난 적도 없었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는 특히 수도에 방대한 건축 프로젝트를 늘려 국가를 파탄에 빠뜨리는 재정 정책을 펼쳤지만 예술과 문화의 진정한 후원자였습니다. 그는 시인, 학자, 예술가들로 구성된 화려한 궁정으로 자신을 둘러쌌으며, 그 화려함은 외국 대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1603년 알 만수르는 1588년부터 모로코를 황폐화시킨 전염병으로 사망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25년은 사디 왕조 역사상 가장 평화적이고 안정과 번영의 시기였습니다. 실제로 그가 죽었을 때 모로코는 부유하고 번영한 나라였습니다. 수스(Souss), 드라(Draa), 타필라렛(Tafilalet)을 넘어 수단의 황금의 수도 퉁북투(Tombuktu)까지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이 통치 기간1578-1603년 동안 사디 왕국은 유럽과 대등한 강대국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알 만수르가 사망한 지 불과 5개월 만에 사디 왕조의 번영은 추락하기 시작합니다. 설탕, 금, 캐러밴 등의 무역으로 탄탄했던 경제 시스템이 허무하게 무너져 내렸습니다. 국내에서는 알 만수르의 아들들이 권력 다툼이 시작되어 내전이 나라를 황폐화시켰습니다. 대외적으로 스페인은 터키와 가까워졌지만 지중해 서부의 현상태의 유지를 옹호하여 가까스로 오스만의 위협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사디 왕조 붕괴(1603-1659)
영광스러운 술탄 알 만수르(al-Mansour)가 사망한 직후 모로코는 왕위 계승 분쟁, 중앙 권력의 붕괴, 지역 다툼, 영토 분열, 내전으로 왕국 전체가 황폐화되는 등 심각한 불안의 시기를 경험했습니다. 상황이 너무 극적으로 전개되어 사디안 왕조는 알 만수르의 죽음과 함께 붕괴되었습니다. 모로코는 증오와 폭력, 학살로 점철된 암흑의 60년을 경험했습니다. 아흐메드 알 만수르의 세 아들 중 누구도 그의 위상이나 권위를 갖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끔찍할 정도로 무능했고 권력 쟁탈전에만 몰두했습니다. 겨우 한 세기 동안 통치한 사디 왕조는 완전한 혼란 속에서 끝났습니다. 알라우 (Alaouit)족이 등장하고 나서야 모로코의 질서가 회복되었습니다.
사드 왕조의 업적
정치적으로는 사디 왕조가 부분적으로 실패한 것처럼 보이지만,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사디 왕조의 세기는 오히려 찬란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와타시드 왕조가 남긴 암울한 문화 환경의 유산에도 불구하고 사드 왕조는 모로코의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장려하고 활성화했습니다. 이러한 영향력은 술탄 알 만수르 통치 기간에 절정에 달했습니다. 가장 웅장한 예술적 창조물은 건축적인 성격이 강했습니다. 사디 왕조 시대에는 페즈와 마라케시의 지적 지배가 지배적이었습니다. 술탄들은 페즈에 보르즈(Borj)를 짓고 알 카라우이인(alQaraouiyin) 모스크를 장식했습니다. 마라케시를 제국의 수도로 삼은 사디 왕조는 그들의 왕실 묘지, 벤 유세프 메데르사(Medersa Ben Youssef), 알 바디아(El Badia) 궁전을 건설하는 등 마라케시를 특히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알 만수르(al Mansour)가 자신의 영광에 걸맞은 기념비적 건축물을 만들고 싶어했고 1578년부터 1594년까지 거의 쉬지 않고 공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모로코-안달루시아 유산을 융합하고 수입 재료와 기술(이탈리아 대리석 등)을 도입하는 동시에 메리니드(Merinids) 왕조 시대에 개발된 재료와 기술을 계속 유지했습니다. 이는 이전 왕조 시기에 확립된 예술적 전통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는 증거입니다. 사디 왕조 시대에는 모로코는 전 세계에 개방적인 태도로 유럽, 터키, 심지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사디 왕조 시대의 예술은 알모하드(Almohads) 전통, 메리니드(Merinids) 유산, 오스만 제국의 영향이 공존하고 융합된 복합 예술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