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프리카, 아랍인 정복
649년은 중동 아랍인들이 북아프리카의 정복이 시작된 시점이다. 실제로 아랍군이 모로코 영토에 들어온 것은 이로부터 35년 후다. 모로코 토착 민족인 베르베르인들은 주로 아틀라스(Atlas) 산맥과 리프(Rif) 산안 시슭에 거주하며 이 지역의 패권자인 비잔틴(서 로마제국)을 지지하며 아랍인들에 대항했다. 700년, 비잔틴 제국이 결국 멸망하고 북아프리카는 새로운 정복자인 아랍인들과 이슬람 지배하에 들어갔다. 711년 아랍군대는 지부럴터 해협을 건너 유럽대륙(스페인)으로 쳐들어갔다.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정복의 초기에 이라크에 거점을 잡은 Kharijisme(하와리지: 중앙정부의 권의를 인전하지 않고 이슬람의 가치 이래 본질적으로 이슬람 이전의 부족 지상주의로 돌아가려는 이슬람 계파운동)파에서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인드을 규합하려고 북아프리카의 대표를 보냈다. 비잔틴 제국의 평등주의와 공동체에 익숙한 베르베르인들은 Kharijism파와 동맹은 우마이야조 아랍 정복인들에 대한 저항 동력을 얻게된다.
이 후 베르베르 부족장 중 한 명인 Maysara가 모로코 북쪽 도시 탕헤르에서 우마이야 주둔군에 대항하여 폭동을 일으킨다. Maysara는 도시를 장악하고 아랍 사령관 Omar Ibn Abdallah를 죽이고 자신을 칼리프(통치자)로 선언합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스페인 남부를 점령하고 있던 우마이야 아랍 주둔군이 모로코로 상륙하려고 시도했지만 결국 베르베르인들에 이해 실패한다.
741년과 742년 두 차레에 걸쳐 시리아 우마이야 아랍군대가 대규모 군대를 모로코에 보냈으나 베르베르 군대에 패하고 결국 아랍정복군은 Kairouan(현재의 튀니지) (742) 인근까지 후퇴한다. 그 후 시리아 우마이야 (750) 조의 명말 후 남부 스페인(안달루시아)은 우마이야 후손 아랍 정복자들에 의해 스페인 여러 도시들이 이슬람화가 되었고 북아프리카는 이슬람화된 베르베르인들의 여러 독립국가들로 나뉘어 통치되기 시작했다.
649년은 중동 아랍인들이 북아프리카의 정복이 시작된 시점이다. 실제로 아랍군이 모로코 영토에 들어온 것은 이로부터 35년 후다. 모로코 토착 민족인 베르베르인들은 주로 아틀라스(Atlas) 산맥과 리프(Rif) 산안 시슭에 거주하며 이 지역의 패권자인 비잔틴(서 로마제국)을 지지하며 아랍인들에 대항했다. 700년, 비잔틴 제국이 결국 멸망하고 북아프리카는 새로운 정복자인 아랍인들과 이슬람 지배하에 들어갔다. 711년 아랍군대는 지부럴터 해협을 건너 유럽대륙(스페인)으로 쳐들어갔다.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정복의 초기에 이라크에 거점을 잡은 Kharijisme(하와리지: 중앙정부의 권의를 인전하지 않고 이슬람의 가치 이래 본질적으로 이슬람 이전의 부족 지상주의로 돌아가려는 이슬람 계파운동)파에서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인드을 규합하려고 북아프리카의 대표를 보냈다. 비잔틴 제국의 평등주의와 공동체에 익숙한 베르베르인들은 Kharijism파와 동맹은 우마이야조 아랍 정복인들에 대한 저항 동력을 얻게된다.
이 후 베르베르 부족장 중 한 명인 Maysara가 모로코 북쪽 도시 탕헤르에서 우마이야 주둔군에 대항하여 폭동을 일으킨다. Maysara는 도시를 장악하고 아랍 사령관 Omar Ibn Abdallah를 죽이고 자신을 칼리프(통치자)로 선언합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스페인 남부를 점령하고 있던 우마이야 아랍 주둔군이 모로코로 상륙하려고 시도했지만 결국 베르베르인들에 이해 실패한다.
741년과 742년 두 차레에 걸쳐 시리아 우마이야 아랍군대가 대규모 군대를 모로코에 보냈으나 베르베르 군대에 패하고 결국 아랍정복군은 Kairouan(현재의 튀니지) (742) 인근까지 후퇴한다. 그 후 시리아 우마이야 (750) 조의 명말 후 남부 스페인(안달루시아)은 우마이야 후손 아랍 정복자들에 의해 스페인 여러 도시들이 이슬람화가 되었고 북아프리카는 이슬람화된 베르베르인들의 여러 독립국가들로 나뉘어 통치되기 시작했다.